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디지털 전환의 중소기업 수용성 제고방안
구분
산업자료
분류
산업/기술일반
저자명
조영삼
출처
KIET 산업연구원
작성일
2020.12.07

○ 4차 산업혁명 흐름 속에서 스마트 제조, 디지털 전환이 강조되는 가운데 최근 포스트 코로나의 핵심 이슈로 ‘디지털 전환 가속화’가 크게 부각되고 있으나, 디지털 전환 논의에서 중소기업 관점의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흡함. 

 

○ 중소기업의 경우 디지털 전환 흐름의 선제적 활용을 통해 새로운 성장 기회 창출도 예상되지만, 혁신 지체에 따른 성장 소외 위험성에 직면할 우려도 제기됨에 따라 엄중한 도전과 위협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음. 

 

○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논의함에 있어 디지털 전환이 단순히 생산과정의 최적화나 생산성 향상 차원을 뛰어넘어 디지털 기술의 적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와 비즈니스모델을 창출한다는 점이 강조될 필요가 있음.
- 새로운 수요와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비전이 결여된 생산 효율 증대와 비용 절감 관점의 단기적 접근은 디지털 전환의 편익에 비해 투자 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할 우려 

 

○ 각종 연구ㆍ조사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은 높지 않으며 내용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 아태지역 중소기업 간 디지털 성숙도 비교 및 국내 중소기업의 디지털 성숙도 조사 결과에서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과 내용이 상대적으로 미흡 

 

○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적 요소와 운용역량 등 많은 기능적 필요조건을 충족해야 하고 추진상 제약요인이 적지 않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수용성 제고가 관건적 요소인 것으로 파악됨. 

 

○ 수용성 제고를 위해 디지털 전환의 기대 편익에 대한 비전 제시와 체계적 실태 파악 및 정책 반영이 중요하며, 실행이 용이한 디지털 전환 모델 및 구동형태의 연구 및 보급ㆍ확산, 내실있는 교육ㆍ훈련프로그램 확충에 힘써야 함.
- 또한 정책 추진에 있어 디지털 전환의 지향점을 명확히 설정하고 충실한 현실 구현을 도모하는 한편, 질적 목표와 성과가 강조될 필요가 있음. 

첨부
iKIET-99호_디지털+전환의+중소기업+수용성+제고방안(조영삼).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