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한국형 스마트 제조전략 수립의 중요성과 기본방향
구분
산업자료
분류
산업/기술일반
저자명
정은미
출처
KIET 산업연구원
작성일
2020.01.21

산업경제분석


- 해외플랜트 수주 한·일 비교와 시사점

- 국내외 산업용 섬유산업 현황과 정책과제

- 중국경제의 서비스화 진전 현황과 시사점


정책과 이슈


- 튼튼한 안보 구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위력 개선비

-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노력

- CEO 신년사로 본 2020년 한중일 철강업계의 당면과제


해외산업 이슈 점검


- 2019년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나타난 2020년 중국 경제 정책 방향

- 히다치, IoT를 무기로 세계시장 공략에 주력


4차 산업혁명에 의해 촉발된 디지털전환은 스마트 제조로 구체화하고 있다. 스마트 제조는 산업의 지능화라는 점에서 자동화, 정보화와는 구분되며, 가치사슬의 전체적인 변화를 통해 새로운 제조업으로의 이행이라는 점에서 가장 강력한 산업혁신의 경로가 될 수 있다. 그동안 적극적인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의 추진으로 국내 중소기업들은 가동률과 생산성, 고용증대가 나타났지만 제품혁신과 시장혁신, 수익성 증가 효과는 미흡한 상황이었다. 스마트 제조시스템의 국내 공급부문도 중소·영세기업 비중이 높고 기술경쟁력과 브랜드 파워, 통합성이 취약하며 해외 설비·SW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내에서 스마트 제조가 본격화된다면 제조시스템에 대한 수요에 비해 공급역량이 부족할 것으로 보여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한국의 스마트 제조전략은 중장기 산업발전 비전을 기반으로 한국 제조업의 장점을 살려 산업·기업 유형별 스마트 제조 비즈니스모델의 발굴과 확산, 제조기업들의 지능화와 혁신역량 제고, 스마트 제조시스템의 성장동력화, 스마트 제조인프라의 내실화 등에 주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첨부
2020+산업경제+1월_특집.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