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중국 니켈 공급망 현황
구분
경제자료
분류
해외경제
저자명
선전무역관
출처
중국
작성일
2023.12.11

- 중국, 전 세계 황산니켈 생산량 77% 차지

- 중국 황산니켈 생산량 상위 6개 사, 중국 전체 황산니켈 59% 생산


간쑤성, 중국 전체 니켈 매장량 57% 차지

니켈은 리튬, 코발트, 흑연, 백금족, 희토류 등과 함께 6대 핵심광물 중 하나다. 전 세계 니켈 매장량은 1억 톤이 넘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니켈 매장량은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가 가장 큰데, 그 중에서도 인도네시아와 호주의 매장량이 각각 2,100만 톤으로 가장 많다. 두 국가의 매장량이 전세계 매장량의 41.2%를 차지한다. 2022년 기준 중국의 니켈 매장량은 전세계 니켈 매장량의 2.1%로 세계 7위다.

 

니켈은 함유량에 따라 황화니켈(硫化镍)과 산화니켈(红土镍)로 구분된다. 중국에 매장된 니켈의 68.0%가 황화니켈이며 품위(순도)가 낮은 편이다. 중국 ‘전국 광물자원 매장 통계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니켈 매장량은 434만 6,500톤이다. 간쑤성(甘肃省)의 니켈 매장량이 중국 전체의 57.3%인 249만 1,300톤으로 가장 많다. 뒤를 이어 칭하이성(青海省)과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维吾尔自治区)가 각각 전체의 20.2%와 9.3%를 차지한다. 중국의 대표적인 니켈 광산은 간쑤성의 황화니켈 광산인 진촨(金川)광산이다. 1959년에 개발된 진촨광산의 황화니켈 매장량이 러시아 Nornickel광산 다음으로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다.


<2022년 중국 성시별 니켈 매장 비중> 

(단위: %)

external_image


 <간쑤성 진창시(金昌市) 진촨광산>

external_image

[자료: 중국자연자원부(中国自然资源部),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 자오상은행연구원(招商银行研究院)에 따르면, 전세계 니켈원광 생산량은 약 140만 톤에 달한다. 2022년 기준 니켈원광 생산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으로 전체의 18.4%를 차지하고, 뒤를 이어 러시아의 니켈원광 생산량이 이보다 다소 적은 18.1%를 차지한다. 3위는 캐나다로 전체 니켈원광 생산량의 11.0%를, 4위 호주는 전체의 10.7%를 차지한다. 중국과 러시아에서 생산된 니켈원광은 주로 스테인리스강 제조에 사용된다.

 

니켈원광 제조기업의 시장점유율은 러시아 니켈 생산기업 Nornickel이 전세계에서 가장 크다. Nornickel은 세계 최대 규모 황화니켈 광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이 연 21만 5,000톤에 달한다. 2위는 브라질 니켈 생산기업 Vale으로 전체 시장의 12.0%를 차지하고 3위는 중국 진촨그룹(金川集团)이다. 진촨그룹은 2022년 중국 전체 니켈원광 생산량인 21만 8,000톤의 70%에 해당하는 15만 톤을 생산했다.

 

<전세계 니켈원광 제조기업의 시장점유율>

(단위: %)

external_image

[자료원: SMM(Shanghai Metals Market), 자오상은행연구원]

 


중국, 전세계 황산니켈 77% 생산

삼원계 배터리의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적정 비율로 배합한 전구체와 리튬을 혼합해 만들어진다. 황산니켈(硫酸镍)은 전구체의 핵심원료 중 하나다. 중국은 황산니켈을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2022년 중국 황산니켈 생산량은 37만 7,000톤으로 전세계 황산니켈 생산량의 76.8%를 차지한다. 중국의 전세계 황산니켈 생산량 비중은 2015년 47.0%에서 2022년 76.8%로 늘었다.

 

중국 철강, 건축재료 등 원자재 산업 통계 사이트 Mysteel에 따르면, 2022년 전세계 니켈 중간재 생산량은 인도네시아가 전체의 25.5%를 차지하며 가장 많고, 다음으로 핀란드 16.1%, 필리핀 15.7%, 호주 11.1%를 차지한다. 중국이 황산니켈을 가장 많이 생산하지만, 중국은 황산니켈 생산에 필요한 MHP(니켈 수산화 침전물), 니켈매트 등 니켈 중간재의 주요 생산지가 아니다 보니 원료에 대한 해외의존도가 높아서 해외에서 원료를 조달해 중국에서 황산니켈을 가공한다.

 

현재 중국에는 황산니켈 생산기업이 50여 개 사가 있다. 이 중 생산량이 2만 톤 이상인 기업은 CNGR(후난중웨이신소재)과 GEM, Brunp Recycling(邦普循环), 진촨그룹, 닝보창장에너지(宁波长江能源) 등 5개 사다. 중국의 황산니켈 생산량 상위 6개 사가 중국 전체 황산니켈 생산량의 59.0%를 차지한다.

 

<중국 황산니켈 생산기업 시장점유율>

(단위: %)

external_image

[자료원: SMM, 자오상은행연구원]


배터리용 니켈 수요 급증

전통적으로 니켈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스테인리스강과 합금이지만, 최근 몇 년간 배터리용 니켈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2년 니켈이 사용되는 분야를 보면 스테인리스강이 니켈 전체 사용처의 66.5%를 차지한다. 배터리에 사용되는 니켈 비중은 13.4%로 두 번째로 많다. 뒤를 이어 합금에 사용되는 니켈이 전체 니켈 사용량의 12.9%를 차지한다. 배터리용 니켈 사용량 증가율이 2020년에는 전년대비 18.9%, 2021년 75.8%, 2022년 43.4%로 빠르게 늘었다.

 

<전세계 니켈 수요처별 사용량 추이(2019~2022년)>

(단위: 만 톤)

external_image

[자료원: SMM, 자오상은행연구원]

 

특히, 최근 몇 년간 하이니켈 수요가 증가하면서 황산니켈에 대한 수요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고성능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 하이니켈 양극재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서다.

 

자오상은행연구원에 따르면 하이니켈 수요 증가에 따라 삼원계 전구체에 사용되는 황산니켈 수요가 늘고 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전세계 배터리용 황산니켈 사용량의 연평균 44.2%로 증가했다. 2022년 전세계 배터리용 황산니켈 사용량은 41만 5,000톤으로 전년대비 43.2% 늘었다.


고순도 니켈을 생산하는 대표적인 공정은 HPAL(고압산침출법)이며,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진행 중인 습식제련 프로젝트가 모두 HPAL 방식을 사용한다. 증가하는 배터리용 황산니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부분의 기업이 생산라인 전환을 선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테인리스강과 니켈을 생산하는 중국 칭산그룹(青山集团)이 인도네시아 모로왈리에 있는 기존 니켈선철 생산라인을 전환해 니켈매트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용 니켈 수요 증가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전세계 황산니켈 77% 생산

2022년 기준 CNGR은 중국 최대 황산니켈 생산기업으로 주로 테슬라, LG화학, BTR, L&F, 삼성SDI, EASPRING(当升科技) 등에 납품하고 있다. 2022년 말 기준 CNGR의 황산니켈 생산능력은 연 9만 8,700톤이며 2023년 말 추가로 8만 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중국의 주요 니켈 품목 생산기업>

기업명

주요 품목

내용

니켈광

중간

제품

황산니켈

삼원계 

배터리 

소재

화유코발트

2023년 상반기 영업수입이 전년동기대비 7.5% 증가한 333억 4,600만 위안. 2023년 상반기 출하된 니켈제품이 전년동기대비 236.6% 늘어난 5만 3,700만 톤

GEM

 

2023년 상반기 동력배터리용 삼원계 전구체 출하량이 전년동기대비 57.0% 증가한 6만 6,001톤이며, 그 중 니켈 함량이 90% 이상인 하이니켈 제품 출하량이 전체의 65% 차지

CNGR

 

2023년 상반기 영업수입이 전년동기대비 21.3% 증가한 172억 6,600만 위안이며, 상반기 삼원계 전구체 출하량이 12만 톤을 초과. 전세계 삼원계 전구체 시장점유율 1위

Chengtun Mining(盛屯矿业)

2022년 영업수입이 253억 5,700만 위안으로 전년대비 44.0% 감소. 2022년 니켈 제품 생산량이 3만 9,700톤이며, 올해 하반기부터 연간 15만 톤의 배터리용 제조공장 설립 중

Xiangtan Electrochemical(湘潭电化)

 

 

 

2022년 영업수입이 전년대비 12.2% 늘어난 21억 위안. 니켈제품 중에서는 고순도 황산니켈을 주로 생산하며, 2022년 고순도 황산니켈 영업수입이 전년대비 47.5% 증가함

[자료원: 광파증권발전연구센터(广发证券发展研究中心)]

 


시사점

니켈 채굴과 제련 과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돼 환경오염 등 문제가 생긴다. 최근 산업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ESG 요구사항에 충족하면서 급증하는 배터리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니켈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지가 전세계 니켈 공급망의 최대 이슈로 부상했다. 배터리, 철강 등 우리나라의 중점 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전략이 필요하다.

 

자료원: 자오상은행연구원, 한국무역협회, 중상산업연구원, Mysteel, 광파증권발전연구센터, KOTRA 선전무역관 자료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니켈 공급망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