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한-이탈리아, 상반기 교역동향 및 하반기 전망
구분
경제자료
분류
해외경제
저자명
밀라노무역관 유지윤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작성일
2023.08.16

2022년 회복세를 보인 이탈리아 경제는 2023년 1분기 경제성장률 0.5%를 기록하며 그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2분기를 기점으로 산업 생산이 감소하며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제회복의 동력이 약화되는 모습이다. 2023년 2분기 이탈리아의 산업생산은 전 분기 대비 -1.2%, 그리고 1~6월은 전년 동기 기준 -2.8%를 보였다.

 

<이탈리아 산업생산 추이>

(기준: 2015=100, 단위: %)

[자료: 이탈리아 통계청(ISTAT)]

 

이러한 추세는 경제성장률에도 반영돼 2023년 이탈리아의 2분기 경제성장률은 -0.3%로 1분기의 성장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다소 부진한 모습을 기록했다. 2분기에 보인 산업생산의 부진과 마이너스로 돌아선 경제성장률은 수출입 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2023년 5월 기준 이탈리아 수입은 전년 대비 -16.8%, 수출은 -8.7%로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한국과의 교역도 수입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이탈리아 교역 동향

 

한국과 EU의 교역은 2019년 수출입 모두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0년부터 수입과 수출이 모두 증가세로 전환, 2021년에는 한국 제품의 EU 수출은 33.9%, 한국의 EU 제품 수입은 19.6%의 큰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후에도 지속되는 수출증가세에 힘입어 무역적자 폭이 빠른 속도로 감소해 2023년 상반기에는 2억9000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보이고 있다.

 

<한-EU 교역 동향>

(단위: US$ 백만, %)

 

2019

2020

2021

2022

2023.1~6

수출(한→EU)

47,243 (-7.9)

47,509 (0.6)

63,614 (33.9)

68,072 (7.0)

35,867 (5.7)

수입(EU→한)

51,626 (-7.0)

55,141 (6.8)

65,930 (19.6)

68,190 (3.4)

35,574 (7.0)

무역수지

-4,382

-7,631

-2,316

-118

293

주: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과 이탈리아의 교역은 2020년 34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보인 이후, 2021년과 2022년 큰 폭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무역적자 폭이 다소 감소했다. 양국의 교역을 살펴보면 2017년부터 수출입이 모두 급격히 증가해 2018년 사상 처음으로 교역규모 100억 달러를 돌파했으나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수출이 급감하며 교역 규모 또한 감소했다. 그러나 2021년을 기점으로 코로나19의 영향에서 벗어나며 수출과 수입이 모두 증가세를 보여 2022년도에는 교역 규모 135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2023년도 상반기 기준, 한국의 이탈리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 수입은 5.8%를 기록해 수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교역 규모는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한국의 26위의 수출 대상국이자 18위 수입 대상국이며 전체 교역액 기준으로는 21위국으로 유럽 내에서 8위 독일, 18위 네덜란드에 이어 세 번째의 교역대상국에 위치해 있다.

 

<한-이 교역 동향>

(단위: US$ 백만, %)

 

2019

2020

2021

2022

2023.1~6

수출 (한→이)

3,773 (-16.0)

3,221 (-14.6)

4,597 (42.7)

5,134 (11.7)

2,720 (-3.3)

수입 (이→한)

6,449 (2.3)

6,651 (3.1)

8,006 (20.4)

8,356 (4.4)

4,338 (5.8)

무역수지

-2,676

-3,430

-3,409

-3,222

-1,619

교역규모

10,223

9,872

12,603

13,490

7,058

주: ( )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자료: 한국무역협회]

 

주요 수출입 품목 동향

 

2023년 상반기 한국의 이탈리아 주요 수출 품목은 화학제품과 승용차 및 철강제품 등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주력 수출품목인 승용차 분야에서 이탈리아의 친환경 정책에 따라 전기차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기타 자동차로 분류되는 전기차는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추진 및 지속가능한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에 힘입어 2022년 43664%, 2023년 상반기 25%의 수출증가율을 기록했다. 의약품 또한 수출 주력 품목으로 자리 잡아 2022년 77.3%로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2023년 상반기 5.1%로 증가세를 유지했다.

 

전통적인 수출 주력 품목인 합성수지, 철강을 필두로 산업 중간재의 수출은 전반적으로 이탈리아의 산업생산과 크게 연관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탈리아의 경제 회복이 가시화됐던 2022년에 수출 증가를 보였던 철강품목 중 냉연강판은 2023년 산업 생산 부진과 함께 수출이 감소(-38.6% )했으며, 합성수지의 수출 또한 큰 폭으로 감소했다. KOTRA 밀라노 무역관의 현지 진출기업 인터뷰에 따르면, 합성수지의 수출 감소는 이탈리아 산업생산 약화와 함께 한국산 제품의 현지 가격 경쟁력 약화에 따른 것으로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이후 현지 시장이 가격경쟁력 중심으로 재편되는 상황으로 수출 감소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2022년과 2023년 상반기 한국의 이탈리아 10대 수출품목>

(단위: US$ 백만, %)

 

2022

2023.1~6.

품목

금액

증감률

품목

금액

증감률

 

전체

5,134

11.7

전체

2,720

-3.3

1

합성수지

552

-2.2

합성수지

277

-23.0

2

의약품

428

77.3

열연강판

253

5.9

3

열연강판

382

9.0

의약품

226

5.1

4

승용차

262

-52.1

승용차

151

21.7

5

냉연강판

249

5.6

기타 자동차

122

25.0

6

기타 자동차

227

43,664

냉연강판

114

-38.6

7

금속절삭가공기계

176

2.9

금속절삭가공기계

105

6.5

8

무선전화기

165

154.1

선박

90

-

9

축전지

158

70.7

자동차부품

69

3.7

10

자동차부품

119

5.6

타이어

68

56.3

[자료: 한국무역협회(MTI 4단위 기준)]

 

우리나라의 대 이탈리아 주요 수입품목 구성은 소비재 위주로 이뤄져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이탈리아산 프리미엄 및 고급 소비재의 국내 선호도에 기인한 것으로, 한국의 이탈리아 주요 10대 수입품목 중 상위 5개 품목(1위 가방, 2위 신발, 4위 직물제 의류, 5위 주얼리, 6위 편직제 의류)이 모두 소비재다.

 

2023년 상반기 한국의 이탈리아 전체 수입은 5.8% 증가했으며 수입이 소폭 감소한 일부 품목(가방 -9.5%, 신발 -5.3%, 의약품 -1.7%)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의 수입이 모두 증가했다. 특히, 타일과 기계류의 수입이 급증해 주요 10대 수입품목 내에 위치했으며 11위는 낙농품으로 식품류 수입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22년과 2023년 상반기 한국의 이탈리아 10대 수입품목>

(단위: US$ 백만, %)

 

2022

2023.1~6.

품목

금액

증감률

품목

금액

증감률

 

전체

8,536

4.4

전체

4,338

5.8

1

가방

1,667

5.7

가방

822

-9.5

2

신발

572

1.3

신발

299

-5.3

3

의약품

468

47.3

의약품

236

-1.7

4

직물제 의류

450

18.0

직물제 의류

180

17.9

5

주얼리

357

15.6

주얼리

176

0.6

6

편직제 의류

345

20.5

편직제 의류

122

6.8

7

승용차

210

-39.1

승용차

68

15.6

8

나프타

149

26.8

나프타

64

126,585,856

9

펌프

125

46.1

타일

59

25.9

10

의류 액세서리

125

14.6

기타 기계류

56

281.9

[자료: 한국무역협회(MTI 4단위 기준)]


전망 및 시사점


2022년 기준 이탈리아 교역은 수입 21.5% 수출 6.7%의 증가를 기록했으나 2023년 5월 기준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6.8%, 수출은 -8.7%로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2023년 상반기 한국의 이탈리아 수출 또한 -3.3%를 기록했다. 이탈리아의 교역 감소는 산업생산 약화 및 경제성장 둔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따른 자본 조달비용 상승, 다소 둔화되고는 있으나 계속되는 물가 상승의 압박, 또 다가오는 겨울 에너지 가격 상승의 위험 등이 경제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환경의 불확실성은 이탈리아의 교역 전반에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탈리아 정부는 하반기 국내 경제환경 개선을 개선하고 수출동력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경제회복기금을 활용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의 진행속도를 높이는 한편, 인플레이션 안정으로 내수 소비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최우선적으로 소비심리 회복을 통해 침체를 보이는 경기의 반등을 노리고 있다. 또한, 유럽 그린딜, 역내 공급망 구축정책 등 시장 재편이 이어지는 상황으로 이 과정에서 새로이 떠오르는 산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관련 품목에 대한 시장공략으로 새로운 수출시장 개척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일간지 Il Sole 24 Ore, 한국무역협회, 이탈리아 통계청(ISTAT), KOTRA 밀라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