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고한상넷

전체검색영역
중국 GDP의 40%, 디지털경제가 중요한 이유 ①
구분
경제자료
분류
해외경제
저자명
상하이무역관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작성일
2023.07.21

디지털경제는 디지털화된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과 실물 경제를 심층 통합하여 사회경제의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지능화 수준을 제고하고, 경제 발전 및 거버넌스 모델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경제 형태이다. 


시장규모 

현재 중국 경제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질적 성장 엔진으로 꼽히는 경제 전환, 산업 고도화, 디지털경제 등이다. 이 중 디지털경제는 ‘13차 5개년 계획’ 시기부터 비약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2022년 중국의 디지털경제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4.7조 위안 증가하여 처음으로 50조 위안을 돌파했다. 국내외의 경제 하방 압력을 받은 2022년에 디지털경제가 새로운 성장 동력이자, 신 발전 기회의 역할을 하며 중국 GDP에서 디지털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41.5%에 달했다. 

 

<2018~2023년 중국 디지털 경제 규모 및 GDP 비중>

(단위: 조 위안, %)

CLP00002c080a2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8pixel, 세로 450pixel" src="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503/20230526180352919_DPWZQ74F.jpg" style=" font-family: Roboto, "Noto Sans KR", sans-serif !important; font-size: 18px !important; width: 566px;">

[자료: 중국 정보통신 연구원, 중상산업연구원]

 

중국 디지털경제는 디지털 산업화, 산업 디지털화, 디지털 거버넌스, 디지털 가치화 등 4개로 분류하는데, 이 중 산업 디지털화와 디지털 산업화는 생산성 발전을 위한 디지털경제의 핵심이다. 

디지털 산업화는 디지털경제의 기초 부문으로 정보산업이라고도 하며, 전자정보 제조업, 전기통신산업,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 인터넷 산업 등을 포함한다. 산업 디지털화는 디지털경제의 융합 부문으로, 전통 산업이 디지털 기술을 응용하여 생산성을 제고하는 형태로 주로 산업 인터넷, 스마트제조, 차량 인터넷, 플랫폼 경제 등 융합형 신산업 신모델 신업태 등을 포함한다.  

 

<중국 디지털경제 구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디지털 산업 분류.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720pixel

[자료: 중국 통계국, 절강성 자동화 학회]

 

인터넷, 빅데이터, AI 등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물 경제와의 융합이 확대되면서 산업 디지털화가 디지털경제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산업 디지털화는 규모는 41조 위안으로 디지털경제의 80% 이상, 전체 GDP의 33.9%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46조 3,000억 위안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디지털 산업화 규모는 9조 2,000억 위안으로 GDP의 7.6%를 차지하며, 2023년 규모는 10조 1,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2023년 중국 디지털경제 산업별 규모>

(단위: 조 위안)

CLP0001429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92pixel, 세로 404pixel" src="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503/20230526180353720_BRKQW4T6.jpg" style=" font-family: Roboto, "Noto Sans KR", sans-serif !important; font-size: 18px !important; width: 566px;">

[자료: 중국 정보통신 연구원, 중상산업연구원] 

 

산업사슬  

중국 디지털경제의 산업 사슬은 인프라, 전송, 플랫폼, 응용 등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인프라 단계는 크게 칩, 센서, 디스플레이장치, 스마트 설비, 5G 기지국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하드웨어 분야와 블록체인,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AI 등을 포괄하는 첨단기술 분야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디지털경제라 인식하는 대부분의 제품 및 기술이 여기에 포함된다. 전송 단계는 통신망과 통신설비로 구분하는데, 국가 기간산업이라는 인식이 있어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다. 플랫폼 단계는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스템 통합 서비스로 구성되며, 플랫폼 역시 현지 산업과 기업을 폭넓게 이해하고 장기간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한 단계로 글로벌 또는 현지 IT기업의 경쟁력이 필요한 분야이다. 응용 단계는 인프라, 전송, 플랫폼 등 각 단계의 제품,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신산업으로 스마트제조, 스마트교통, 스마트시티, 스마트팜, 스마트 전자상거래 등 확장성이 뛰어나고, 각 응용 산업별 활용가능한 제품 및 기술도 세분화, 다양화, 구체화되어 있다. 

 

<중국 디지털경제 산업체인>

[자료: 중산산업 연구원]


기업동향 

현지 주요 리서치 센터에서 선정한 디지털경제 산업체인 각 단계에서 기술혁신과 응용 및 변화를 선도하는 주요기업들을 통해 중국 디지털경제의 주요 발전 방향, 중점 기술과 응용 분야를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중국 100대 디지털 혁신기업(일부)>

기업명

구분

주요 기능

텐센트홀딩스

(腾讯控股)

빅테크 전반

AI,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등 기술 응용, 디지털경제 선도기업 

알리바바 클라우드

(阿里云)

클라우드

AI 디지털경제의 연계, 심화, 스마트화 발전

바이두(百度)

빅테크 전반

인문, 교통, 경제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적용

징동(京东)

전자상거래

AI, 빅데이터,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등 종합기술 선도

차이나타워

(中国铁塔)

통신망

정보통신 인프라 건설, 사회 디지털전환 촉진

샤오미그룹

(小米集团)

전자

휴대폰, 웨어러블, 생활용품 디지털화 응용

차이나모바일

(中国移动)

통신망

사물인터넷, 정보통신 업그레이드, 디지털화, 스마트화

SANY(三一重工)

중장비

데이터화, 산업인터넷 전환

차이나유니콤 

(中国联通)

통신망

기술 혁신 및 응용, 질적 경제발전 촉진

Neusoft(东软集团)

스마트의료

5G+디지털경제 소프트웨어 플랫폼 

COSMOPlex(卡奥斯)

스마트제조

산업인터넷 플랫폼, 디지털전환 지원

BOE(京东方)

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 혁신 솔루션 선도

Weier(韦尔股份)

팹리스

디지털경제 기초 전자정보 제품 제조

상하이자동차 

(上汽集团)

자동차

디지털전환, 기술 및 응용의 변화/혁신 주도

WPS Office(金山办公)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오피스 솔루션

ZOOMLION(中联重科)

중장비

무인화, 스마트화 기반 산업 효율성 제고

차이나텔레콤 텐이클라우드(中国电信天翼云)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디지털 안전보안, 스마트화/디지털화 전환

NetEase(网易)

빅테크 전반

도시, 생활 분야의 디지털화 변화혁신

HY(汇医慧影)

스마트의료

AI+의료영상기술 혁신

[자료 : 중상산업연구원, 선전시 전자상회]


정책동향 

중국은 2015년 ‘국가 빅데이터 전략’ 실행을 시작으로 디지털경제 발전 및 전환 정책을 잇달아 추진했다. 중국 디지털경제 정책의 발전 방향은 크게 1) 디지털 기반시설 공고화, 디지털경제 발전 지원, 2) 디지털경제를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발전, 3) 산업 디지털화와 디지털 산업화 2개 축을 중심으로 발전, 4) 전통 산업과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화 가속화, 5)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중국 추진, 6) 데이터 요소 가치 활성화 및 디지털 거버넌스 역량 향상 등 6개 분야이며, 이와 관련된 정책을 중점적으로 발표, 개선, 시행하고 있다.  

   

 <중국 디지털경제 관련 정책>

발표시기

발표기관

정책명

주요내용

2015.11

국무원

<'13차 5개년' 발전계획(十三五发展规划)>

국가 빅데이터 전략 실시, 디지털 자원 개방 및 공유 추진

2016.12

국무원

<‘13차 5개년’ 국가정보화 계획(“十三五”国家信息化规划)>

공동 건설 및 공유를 준수하고, 네트워크 상호 연결 및 정보 교환 촉진, 온라인 실크로드 공동 건설, 디지털 경제 및 정보기술 협력 촉진, 디지털 경제 협력 촉진 요구 

2017.7

국무원

<차세대 AI발전계획(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

ㅇ 금융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통해 금융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 향상, 스마트 금융 상품/서비스 혁신, 신 금융 모델 개발 

ㅇ 금융 산업에서 고객 서비스, 스마트 모니터링 등 기술과 장비 적용 권장, 금융 리스크 스마트 경보, 예방 통제 시스템 구축

2018.10

국무원, 중국공산당중앙위원회

<디지털경제 발전전략 요강(数字经济发展战略纲要)>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 기초시설, 서비스 등의 시스템 전략 배치 명시

2019.10

국가 발개위, 중앙 인터넷안전과 정보화 위원회

<국가 디지털경제 혁신발전 시험구 실시방안(国家数字经济创新发展实验区实施方案)>

디지털경제의 새로운 발전이념/질적 발전 추진, 디지털 경제 요소 유통 매커니즘/새로운 생산관계/자원 배분, 산업 클러스터 발전 모델 등 다방면에서 노력 요구  

2020.3

공업과 정보화부

<중소기업 디지털화 에너지 부여 전문 행동 방안(中小企业数字化赋能专项行动方案)>

디지털경제의 신 모델 발전, 오픈 소스 산업/APP 개발자 커뮤니티/중소기업 오픈 플랫폼 구축, 중소기업 자원 및 수요 풀 구축, 클라우드 소싱/창조/공유/임대 및 기타 모델 발전 

2020.3

공업과 정보화부

<공업정보화부 판공청의 산업인터넷 발전 가속화에 관한 통지(工业和信息化部办公厅关于推动工业互联网加快发展的通知)>

산업 인터넷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인터넷 식별 시스템 강화 및 개선, 산업 인터넷 플랫폼의 핵심 역량 향상, 산업 인터넷 빅 데이터 센터 건설, 산업 인터넷 발전 강화 등 추진 

2020.4

국가 발개위, 중앙 인터넷안전과 정보화 위원회

<“上云用数据赋智”를 추진할 것에 대한 행동(关于推进“上云用数据赋智”行动)>

ㅇ 디지털 경제의 새로운 전략 및 방향을 대대적 육성, 기업의 디지털화 전환 추진 

ㅇ 기초 구축, 디지털 기술 지원, 대형 플랫폼, 멀티 연동 산업 인터넷 플랫폼 구축, 디지털 전환 촉진, 기업의 上云用数赋智(클라우드/빅데이터/인공지능의 응용)* 가속화, 글로벌 디지털경제 생태계 건설, 산업 활성화, 서비스 강화, 디지털 전환 지원 확대 

2020.4

국무원

<더욱 완벽한 요소시장화배치메커니즘을 구축할데 관한 의견(关于构建更加完善的要素市场化配置机制的意见)>

ㅇ 디지털경제의 신 산업/업태/모델 육성

ㅇ 농업/산업/교통/교육/보안/도시 관리/공공 자원 거래 등 분야에서 표준화된 데이터 개발 및 활용 시나리오 구축 지원 

2020.7

국가 발개위 등 부문

<신 업태/신 모델의 빠른 발전 지지 및 소비시장 활성화를 통한 취업 확대에 관한 의견(关于支持新业态新模式快捷发展,激活消费市场带动扩大就业的意见)>

ㅇ 산업 플랫폼 생태계 육성, 기존 기업의 디지털전환 속도 제고,  버추얼 산업단지 및 클러스터 조성, 기회와 신기술의 '무인 경제' 발전 

2021.1

공업과 정보화부

<산업인터넷 혁신발전 행동계획(工业互联网创新发展行动计划)>(2021~2023)

ㅇ 2021~2023년을 중국 산업인터넷 고속 성장기로 지정

ㅇ 새로운 기반시설 개선, 융합응용 효과 확대, 기술혁신 설립 확대, 산업발전생태계 개선 및 안전보장능력 강화를 포함한 산업인터넷 혁신발전 목표 제시 

ㅇ 산업 인터넷 발전의 애로사항 해결, 산업의 디지털화/디지털 산업화 촉진 노력

2021.3

전국 인민대표대회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경제사회발전 제14차 5개년 목표와 2035년 비전목표 개요(中华人民共和国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四个五年目标和2035年远景目标纲要)>

ㅇ 디지털 시대의 데이터 잠재력 활성화, 인터넷 강국 추진, 디지털 경제/디지털 사회/디지털 정부 건설 가속화 

ㅇ 빅데이터 및 응용사례 활용, 디지털기술과 실물경제의 심층 통합 촉진, 전통산업의 전환 및 업그레이드 추진, 신 산업/신 업태/신 모델 구축, 신 경제발전 엔진 확장 

2021.11

공업과 정보화부

<14차 5개년 기간 빅 데이터 산업 발전 계획(十四五大数据产业发展规划)>

ㅇ '14.5' 기간 빅데이터 산업의 질적 발전, 공급망 구조개혁, 데이터 활용 확대로 산업 발전 기반 구축, 데이터 및 기술 혁신, 인프라 고효율 추진 

ㅇ 2025년까지 중국 빅데이터 산업 규모 3조 위안 돌파, 현대 빅데이터 산업체계 기본적 형성 

2021.12

공업과 정보화부 등 15개 부서

<14차 5개년 로봇 산업 발전 계획(十四五机器人产业发展规划)>

ㅇ 2025년까지 중국을 글로벌 로봇 기술 혁신, 고급 제조 클러스터 및 통합 응용 허브로 육성 

 - 중국의 로봇 핵심 기술 및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확대, 핵심 장비/부품의 성능을 국제수준까지 제고 

 - 글로벌 수준의 专精特新(전문성이 뛰어나고, 정밀하고, 특징이 있으며, 새로운) 기업을 육성하여 글로벌 수준의 산업 클러스트러를 3~5개 구축 

 - 제조업 로봇 밀도 2배 증가

ㅇ 2035년까지 중국 로봇산업을 글로벌 수준으로 육성 

2021.12

공업과 정보화부 등 8개부처 공동 발표

<14차 5개년 스마트제조 발전 계획(十四五智能制造发展规划)>

ㅇ 최초로 지역 스마트제조 발전 촉진 제시, 지역 특화 스마트제조발전 장려, 지역 및 산업 수요가 명확하며 인프라가 구축된 지역의 스마트제조 선행 지원, 장려 

ㅇ 규모이상의 제조업 기업의 70% 디지털 네트워크화 실현 

ㅇ 스마트제조장비 및 산업 소프트웨어 기술수준과 시장 경쟁력의 시장 만족도가 각각 70%, 50% 초과

ㅇ 스마트제조 시스템 솔루션 공급업체 150개 이상 육성

ㅇ 스마트제조 혁신 및 공공 서비스 플랫폼 일괄 구축, 스마트제조 표준 시스템 및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120개 이상의 산업 인터넷 플랫폼 구축

2022.1

국무원

<14차 5개년 디지털경제 발전계획(十四五数字经济发展规划)>

ㅇ 2025년까지 디지털경제 핵심산업의 부가가치를 GDP의 10%로 확대, 데이터산업 시스템 구축, 산업의 디지털전환 확대, 디지털 산업화 제고, 디지털 공공서비스 보편화, 디지털 경제 거버넌스 시스템 완비 

ㅇ 2035년까지 디지털경제 정비, 글로벌 수준으로 발전 

2022.6

국무원

<디지털 정부 건설을 강화할 것에 대한 지도의견(关于加强数字政府建设的指导意见)>

ㅇ 정부 거버넌스 프로세스 최적화, 스마트 정부 운영 구축, 디지털 경제, 디지털 사회 및 디지털 생태계에서 디지털 정부가 주도적 역할 

ㅇ 2단계(2025년, 2035년)의 사업 목표 제시

 - 2025년까지 정부 관리체계 현대화를 위한 디지털 정부 구축 

 - 2035년까지 디지털 정부체계 완비 

2022.8

공업과 정보화부

<중소기업 디지털 서비스 페스티벌 개최에 관한 안내(关于开展中小企业数字化服务节活动的通知)>

ㅇ 디지털 서비스 기관 및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강화

ㅇ 플랫폼 기반 디지털 경제와 실물 경제의 통합 발전 촉진 

2023.2

중공중앙위, 국무원 

디지털 중국 건설의 전체 배치 계획(数字中国建设整体布局规划)

ㅇ 디지털 중국 건설은 '2522' 계획에 따라 추진

 - 디지털 인프라 및 데이터 자원 체계의 '양대 기반(2)' 구축 

 - 디지털 기술/경제/정치/문화/사회/생태계 건설 '5위일체(5)'의 심층 융합 추진 

 - 디지털 기술 혁신 체계와 디지털 보안 장벽 '양대 능력(2)' 강화

 - 디지털화를 위해 국내외 '2개의 환경(2)'을 발전 

ㅇ 2025년까지 디지털 중국 건설에서 중요한 발전 달성 

ㅇ 2035년까지 디지털 발전 수준을 글로벌 수준으로 제고

  *上云 : 보편적인 혜택형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정책 모색, 추진

   用数 : 빅데이터의 융합 활용을 더욱 심도 있게 추진

   赋智 : 기업의 스마트화 개조에 대한 지원강도 높여야 하며, 특히 인공지능과 실물경제의 심층적 융합 추진

[자료 : 중상산업연구원, 중국정부망, 민셩쯔쿠(民生智庫) 컨설팅,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전망 및 시사점 

중국 경제는 산업 고도화의 전환점에서 디지털경제를 산업 및 경제를 재편하고,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신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14기 5중 전회에서 '14.5' 계획 기간의 핵심과제 중 하나로 디지털 중국 건설, 디지털 발전 가속, 디지털경제 산업의 위상 제고를 제시함에 따라 중국 디지털경제의 기본단계인 블록체인,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기술 분야와 5G 통신, 전자소재, 칩, 센서 등 디지털 하드웨어 분야 모두 정책적 지원을 통해 고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상산업연구원의 애널리스트 A씨는 기본단계의 5G, 빅 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의 결합은 다양한 산업을 디지털화, 스마트화 전환하고 디지털경제의 질적 발전을 통해 중국 경제의 혁신과 발전을 주도할 것이라 전망했다. 또한 기술통합을 통해 디지털경제의 응용단계가 친환경 및 저탄소 개발 분야까지 확대될 것이라 언급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중국의 요식업, 관광, 운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가 불가피하게 온라인 전환되면서 경제사회 곳곳에서 신선 식품 택배, 온라인 진료, 온라인 교육, 클라우드 오피스, 클라우드 서비스 등 디지털경제가 일반화되었다. 디지털경제 응용단계의 스마트제조, 스마트교통, 스마트시티, 스마트팜, 디지털 전자상거래 등도 적용 분야와 기업, 프로젝트가 확대되고 구체화되고 있다. 이제 어느 분야이든 중국에 진출하는 기업들은 디지털 요소를 빼고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산업별 발전현황 및 경쟁력과 우리기업의 진출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 : 중상산업연구원, 중국정보통신연구원, 중국 공업과 정보화부, Frost & Sullivan, 중국 반도체협회, 중국광학광전자협회, IDC, 중국 통계국, 절강성 자동화 학회, 등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취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